새로운 정보 소식

2050 탄소중립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한기후‧환경 연구개발에 1,501억 원(전년대비 12.9% 증) 투자

남동공단 공장 임대 매매 2020. 12. 31. 11:29

에너지효율향상기술개발,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신규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에너지효율향상기술개발’,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21년도 기후ㆍ환경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2050 탄소중립 추진 전략(20.12)」을 마련하는  탄소중립 사회’ 나아가기 위한 범국가적인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 특히, 탄소중립 사회’ 실현 목표 달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과학기술을 통한 기술혁신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 21년도에 전년 대비 12.9% 증액한 1,501  기후ㆍ환경연구개발 분야 투자하기로 하였으며, 이중 신규 과제( 85 , 30 과제) 1분기 내에 모두 공고하는  속도감 있는 사업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21년도 신규과제 현황>

구분

21년도 신규

추진일정

예산

과제 수

공고

선정

착수

에너지효율향상기술개발*

36억 원

4

1

3

4

미세먼지사업단(21 신규과제)

10억 원

2

1

3

4

기후기술협력기반조성(21 신규과제)

5.6억 원

2

1

3

5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33억 원

22

3

6

7

    *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신규 내역사업

 

 

 과기정통부는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21년도에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수소  연료전지 원천기술개발, 탄소 저장‧전환 기술개발  실증연구, 재생에너지 원천기술개발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으로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해갈 계획이다.

 

  낮은 소비전력의 차세대 냉방시스템 개발,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통하여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사업에 36 원을 신규 지원한다.

 

  또한, 에너지 자원의 분석, 예측, 통합관리   스마트그리드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에너지클라우드 기술개발’ 36  지원한다.

 

 ,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수소‧연료전지 분야 원천기술 확보 위한 연구개발도 확대해갈 예정이다.

 

  친환경 수소 생산  안정적 수소 저장을 위해 저온수전해․화학저장을 연구하는 기존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사업에 141  지원하고, 고온수전해․광분해․열분해  차세대 그린수소 연구에도 33 원을 신규 지원(‘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사업)한다.

 

  또한, 연료전지의 특징(친환경ㆍ열 생산ㆍ부하변동 대응 ) 기반으로 활용처를 확대(열병합발전‧백업전원 )  있도록 연료전지 관련 핵심 요소기술 개발에도 114 원을 지원 계획이다.

 

 셋째,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 기후 온난화 가스에서 탄소원(CO, CO2, CH4 ) 포집‧저장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개발  실증 연구 지원 강화한다.

 

  이를 위하여, C1가스 리파이너리’ 사업에 210 ,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Carbon to X 기술개발’ 115 , ‘차세대 탄소자원화 기술개발’ 사업에 98 , ‘플라즈마 활용 탄소자원화 사업에 43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재생에너지, 기후변화적응, 개도국 기후기술 협력, 미세먼지 대응   분야별 지원도 내실 있게 추진해갈 예정이다.

 

  먼저,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태양전지, 바이오에너지, 이차전지  재생에너지 분야에  346  지원할 예정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후변화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등에 68억원, 국내 우수 기후기술(IoT 활용 기술 ) 활용하여 개도국의 기후변화대응을 지원하기위한 ‘기후기술협력기반조성‘ 사업에도 6  지원한다.

 

  또한, 천리안2B호를 활용한 미세먼지 입체 관측 강화  동북아 지역 국가 연구자간 국제공동연구* 통한 미세먼지 생성 과정, 물리ㆍ화학적 특성 규명 등에 75  지원하고,

    * (이화여대), (베이징대), (가나자와대), 몽골(국립몽골대)

 

   - 주요 발생원별 원인규명 고도화  저감 기술 실증* 180  지원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 피해 저감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꾸준히 투자할 계획이다.

    * (원인규명) 사업장, 자동차, 항만, 농촌 등 / (실증) 군 특수차량, 선박, 소각장 등

 

 과기정통부 김봉수 기초원천연구정책관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 위해서는  부문별(에너지전환, 수요관리 ) 온실가스 감축 노력 더하여 과학기술을 통한 기술혁신 필수적이며 이에 대한 요구가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라며,

 

  “과기정통부는 2021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한편,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하여 ‘탄소중립 R&D 전략’ 수립(21.3), 신규 R&D 프로젝트 기획 등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2021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상세내역

 

 

 

 

(단위 : 백만원)

   

20 예산

(A)

21 예산

(B)

증감

(B-A)

 

비고

%

총 계

132,885

150,073

17,188

12.9

 

□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

3,300

3,300

순증

21 신규

 ▪ 미래선도수소생산

-

2,400

2,400

순증

 

 ▪ 미래선도수소저장

-

900

900

순증

 

□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11,767

14,100

2,333

19.8

 

 ▪ 미래수소혁신기술

3,000

3,600

600

20.0

 

 ▪ 차세대수소혁신기술

8,667

10,400

1,733

20.0

 

 ▪ 수소국제협력네트워크 운영

100

100

-

-

 

□ 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

4,445

3,600

845

19.0

 

 ▪ 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

4,445

3,600

845

19.0

 

□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102,373

103,764

1,391

1.4

 

 ▪ 태양전지

14,829

13,798

1,031

7.0

 

 ▪ 연료전지

12,760

11,391

1,369

10.7

 

 ▪ 바이오에너지

10,085

10,978

893

8.9

 

 ▪ 이차전지

6,923

7,756

833

12.0

 

 ▪ Korea CCS 2020

6,671

-

6,671

순감

 

 ▪ 차세대 탄소자원화

7,805

9,756

1,951

25.0

 

 ▪ 기반기술연구

22,800

23,385

585

2.6

 

 ▪ 기획심사평가비

300

300

-

-

 

 ▪ 다부처공동연구

2,400

1,800

600

25.0

 

 ▪ C1가스리파이너리

17,800

21,000

3,200

18.0

 

 ▪ 에너지효율향상기술개발

-

3,600

3,600

순증

21 신규

□ 기후기술협력기반조성(ODA)

400

565

165

41.3

 

 ▪ UNFCCC CTCN 신탁기금

400

-

400

순감

 

 ▪ 온두라스 과하나 섬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지속가능 운영 모델 개발 및 확산 기반 조성

-

200

200

순증

 

 ▪ 세르비아 지역난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실증 및 신재생에너지 연계 방안 수립

-

365

365

순증

 

□ 탄소자원화기술고도화

4,100

4,300

200

4.9

 

 ▪ 플라즈마 활용 탄소자원화 연구개발

4,100

4,300

200

4.9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Carbon to X 기술개발

4,000

11,500

7,500

187.5

 

 ▪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Carbon to X 기술개발

4,000

11,500

7,500

187.5

 

□ 기후변화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1,300

1,444

144

11.1

 

 ▪ 기후변화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1,300

1,444

144

11.1

 

 동북아-지역연계 초미세먼지 대응기술개발

4,500

7,500

3,000

66.7

 

 ▪ 동북아-지역연계 초미세먼지 대응기술개발

4,500

7,500

3,000

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