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2/백두산이 31

지끈지끈 아픈머리 앉아서도 치료할 수 있는 방법

지끈지끈 아픈머리 앉아서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 지압법 머리 정 중앙부터 지압을 시작하여 가볍게 문지르고, 머리 옆면, 귀 위의 머리부분을 누르면 머리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머리를 맑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편두통이나 안면신경통, 머리나 목덜미의 뻐근한 증상을 푸는데 효과적이다. 어깨와 머리의 신경은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어깨의 신경을 풀어주면 머리도 더불어 맑게 할 수 있다. 두통이나 머리가 무거운 증상에 어깨까지 결린다면 목 뒤에 머리카락이 나는 부분을 마사지 해준다. 목 뒤쪽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눌러주면 뒷목이 결리고 몸이 쑤시는 데 도움을 준다. 등의 통증이 심하다면 어깨뼈의 위쪽을 꾹 눌러준다. ◆ 향기요법 향기는 정신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 흔히들 말하는 아로..

대추가 우리 몸에 좋은 이유는…대추 효능

대추가 우리 몸에 좋은 이유는…대추 효능 1.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끝없는 스트레스로 인해 나도 모르게 짜증이 늘고 우울하여 히스테리가 겹치고 거기에 불면증까지… 주부병이라 할 수 있는 이러한 증상은 예부터 흔한 병이었다. 손발이 싸늘해지면서 토하는 증상을 보일 때도 대추가 무엇보다 좋은 약이 된다. 대추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신경완화 작용은 긴장을 풀어주고 흥분을 가라앉혀 주므로 수험생들에게도 효과를 볼 수 있다. 2. 내장기능을 강화시켜준다 대추는 비위(비장과 위장, 즉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여 내장기능을 회복시킨다.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인 사람이 복용하면 속을 편하게 하며, 비장의 기운을 길러주고 위장의 기운을 북돋워 식욕을 촉진시킨다. 특히 체질상으로 소음인에게 좋다. 3. 호흡기를 튼튼..

주 4시간 이상 운동 시험관 수정 성공률 떨어뜨려

주 4시간 이상 운동 시험관 수정 성공률 떨어뜨려 매주 4시간 이상 운동을 하는 여성은 시험관수정(IVF)에 의한 임신 및 출산성공률이 크게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브리검 부인병원의 스테파니 모리스(Stephanie N. Morris,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박사는 의학전문지 「산부인과학」(Obstetrics & Gynecology) 10월 1일 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1994-2003년 사이에 보스턴 지역에서 첫 IVF(in vitro fertilization)시술을 받은 여성 2,2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50세 이전 시작된 당뇨병, 악화될 가능성 높아

50세 이전 시작된 당뇨병, 악화될 가능성 높아 50세 이전에 제2형(성인) 당뇨병 진단을 받은 사람은 50세 이후에 당뇨병이 시작된 사람에 비해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스웨덴 룬드 대학의 타르그 엘그지리(Targ Elgzyri from Lund University, Malmo, Sweden) 박사는 9월 15일 덴마크의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42차 유럽당뇨병연구학회 연례회의 (42nd Annual Meeting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in Copenhagen)에서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50세 이전에 당뇨병이 시작된 사람은 장기적인 혈당수치로 혈당관리의 지침이 되는 당화혈색소(HbA1c)가 진단 1년 후부터 점점..

아스피린, 천식 예방에도 효과

아스피린, 천식 예방에도 효과 아스피린이 성인 천식을 예방하는데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 의과대학 브리검 부인병원의 토비아스 커스(Tobias Kurth, an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and an associate epidemiologist in the division of aging at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 Boston) 박사는 의학전문지 「호흡기-응급의학 저널」(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7년 1월 15일 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심장병 예방을 위해 저단위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천식 위험이 22% 낮..

인간은 자기 뇌의 10퍼센트 밖에…?

인간은 자기 뇌의 10퍼센트 밖에…? 우리 뇌의 모든 세포는 이런,또는 저런 식으로 우리의 생각과 기억에 관련되어 있다. 이는 세포의 일부가 소실될 경우 특정한 뇌의 기능이 항상 고장나게 되는 사실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위의 논제가 나오게 된 것은 아인슈타인 탓이라고 한다. 당시 아인슈타인이 하고자 했던 말의 뜻은 정해진 시점이 되면 우리 뇌세포 열 개 가운데 한 개만이 활동하게 된다는 것으로 짐작된다. 그 말은 맞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어쨌든 열 개의 뇌세포 가운데 한 개만이 아니라 실제로는 모든 뇌세포가 사용된다.

간에 좋은 음식

간에 좋은 음식 1. 문어 문어에는 타우린이 34% 함유되어 있는데요. 간 기능을 회복시켜 피로를 풀어주며 단백질,DHA, EPA 성분도 함께 들어 있어 기억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간에 좋은 음식 입니다 2. 굴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을 비롯해 필수 아미노산 19종, 타우린 등 거의 모든 영양소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로 굴인데요. 굴 의 미끈미끈한 부분에 타우린이 풍부하다고 하니 이 부분이 물로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합니다. 3. 콩나물 대표적인 간 해독 음식인데요. 콩나물 뿌리에 다량 함유된 아스파라긴산이 알코올을 섭취하면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 알데히드를 해독하는 역할을 해주는 간에 좋은 음식 입니다. 4. 무 무의 감칠맛을 내는 성분이 베타인이라는 성분인데요. 이 성분은 간에 좋은 아..

정력에 좋은 음식

정력에 좋은 음식 세상에서 가장 좋은 강정제는 규칙적으로 먹는 하루 세끼 식사입니다. 하지만 균형 있는 세끼 식사 외에 정자의 생성과 발달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먹으면 정력 증강에 도움이 됩니다. 음식과 관련되어 기억해둘 것은, 기름기가 많거나 칼로리가 높아서 소화되기 힘든 음식은 성관계에 방해가 된다는 것! 또한 몸에 좋다고 무턱대고 많이 먹는 것도 오히려 부작용만 생길 뿐입니다. 1. 당근 당근은 정력뿐 아니라 우리 몸에 좋은 영양가가 골고루 들어 있는 식품이다. 생당근을 갈아서 계속 복용하면 빈혈에 효과가 있으며, 씨는 신장병에 좋은 이뇨작용이 있어 부기를 빼주기도 한다. 당근을 강장 식품으로 먹으려면 당근과 사과 1개를 매일 아침 한 잔씩 먹으면 좋다. 이때 껍질째 갈아 먹는 것이 더 좋다. 이렇..

혈압 낮추는데 도움 되는 식품

혈압 낮추는데 도움 되는 식품 고혈압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이 140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이 90 이상일 때를 말한다. 고혈압은 콩팥(신장)병, 심장마비, 뇌졸중, 시력 문제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고혈압은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도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식생활이 있는데, 고혈압을 막기 위해서는 소금(나트륨)과 포화지방이 많이 든 음식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꾸준한 운동과 과일, 채소 등을 더 많이 먹는 등 식습관 개선으로 혈압을 자연스럽게 낮출 수 있다. 최근에는 남조식물 흔들말과의 조류(藻類)인 스피룰리나가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조이바우어닷컴’이 소개한 혈압을 낮춰 고혈압을 막는 데..

채식이 당뇨 표준 식사보다 혈당 조절에 효과

채식이 당뇨 표준 식사보다 혈당 조절에 효과 육류와 낙농 제품을 전혀 먹지 않고 저지방 채식 식사를 하는 사람들이 미국당뇨병협회가 규정한 당뇨병 환자 표준 식단을 실천한 사람들보다 혈당과 체중을 더 낮췄다고 미국 연구자들이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7월 27일 보도했다. 「책임 있는 의학을 위한 의사위원회」 회장을 맡고 있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인 닐 버나드(Neal Barnard, president of the Physician's Committee for Responsibl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ashington, DC) 박사 등 연구팀은 의학전문지 당뇨병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