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정보 소식

1980년 5·18 당시 도청 진압 상황을추정할 수 있는 일부 탄두 추출

남동공단 공장 임대 매매 2021. 4. 14. 15:01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 4 13(), 2020 7월부터 2021 3월까지 실시한  전남도청 건물 일대 탄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기간에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924개를 발견했다.   1980 5·18민주화운동 당시 도청 진압 상황을 추정할  있는 두가 10곳에 박혀있었고 그중 5발을 추출했다.

 

  그리고 사진‧영상 속에 나타난 탄흔으로 추정되는 곳을 비파괴 검사 법으로 형태를 분석한 결과 탄흔으로 추정되는 71곳을 발견했지만, 현재는 수리‧보수가 되어 있었다.  밖에 잔존 성분 검사  추가 검증이 필요한 탄흔 의심 흔적 454개를 확인했다. 나머지 389개는 못이나 나사못 자국  공사 흔적으로 판명됐다.

 

  건물 외에도 1980 당시부터 있었던 수목  본관  은행나무 속에 3, 회의실(또는 민원봉사실)  소나무 속에 2 , 탄두가 나무 속에도 박혀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를 위해 문헌이나, 구술, 당시 사진영상 등으로 흔이 있었던 곳을 추정하고  전남도청 원형 복원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적용할  있는 비파괴 과학적 방법[테라헤르츠‧철근계측(GPR)탐사, 열화상 비교 분석, 금속 탐지, 감마선 촬영] 전문가 자문을 통해 확정했다.

 

 

  특히, 국방부의 협조를 받은 사격장에서 당시 벽면과 같은 벽체를 만들어 탄흔 표본(샘플) 사격을   확보된 탄흔 표본과  벽체를 비교·석했다. 이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통해 총탄의 성분 분석과 탄두 표면에 남아 있는 총강 흔적 등을 교차 확인해 (M)16 탄두임을 증명했다.

 

  문체부는 이번 탄흔 조사의 모든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 전시콘텐츠로 제작하고  전남도청 복원 이후에 공개할 예정이다. 탄흔으로 확정된 10개의 흔적은 영구적으로 보존할  있도록 처리하고, 나머지 탄흔 추정 흔적 71개와  흔적 454  흔적 525개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와 검증을 계속 이어간다.  결과는  전남도청 복원 공사가 완료될 시점에 발표할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조사로 확인된 탄흔을 통해 시민()들의 최후 항쟁 직전과 직후 모습, 계엄군의 진압 동선, 진압 방식 등을 유추할  있었다. 이번 결과는 최후의 항쟁지였던  전남도청이 품고 있던 그날의 기억과 5·18 당시의 진실을 밝히는  하나의 중요한 실마리가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탄흔 현장 설명회 안내>

 

- 일시 : 4 13() 오후 2

- 장소 : 옛 전남도청 별관 1층⇨ 탄흔이 발견된 현장으로 이동

- 대상 : 취재 기자

  * 설명회 이후에는 탄흔 현장을 보존하기 위해 접근을 통제합니다.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취재 시 방역수칙 준수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