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 날씨, 소변 자주 마려운 이유 / 추운 겨울에 평소보다 소변이 자주 마려운 이유는 낮은 기온이 신장과 방광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신장은 몸 속 혈액 중 영양소와 이온을 흡수하고 노폐물을 수분과 함께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리 몸에 유입되는 수분과 배출되는 수분을 거의 비슷한 양으로 조절해 체내 수분량의 균형을 맞춘다. 일반인은 하루 평균 2~2.5리터 정도의 수분을 소변, 대변, 땀 등으로 배출한다. 이 중 겨울이 되면 사람들이 현저하게 배출하지 않는 것이 있다. 바로 ‘땀’이다. 신장은 체내 균형 수분량을 유지하기 위해 원래 땀으로 내보내야할 수분을 소변 등으로 돌려 배출시킨다. 그래서 날씨가 추우면 소변의 양은 늘어나게 된다. 방광 또한 낮은 기온에 민감하다. 추운 날씨에는 에피네프린 등의 호르몬 분비량이 증가하는데 이 호르몬은 심장박동수를 빠르게 만들고 방광을 수축시킨다. 평소보다 작아진 방광은 소변을 많이 저장하지 못하고 우리는 자주 요의를 느끼게 된다. 추울 때 소변을 보면 오싹함을 느끼는 것도 방광과 관련 있다. 방광에는 흔히 '오줌보'라 불리는 부분이 따로 있는데 이 상태의 소변은 체온과 비슷한 온도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 소변이 밖으로 나오면서 바깥의 추운 환경과의 온도 차이를 생성해 몸이 자연스럽게 떨리게 되는 것이다.
'생활정보 2 > 마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데 눈물이? (0) | 2020.04.11 |
---|---|
바나나가 운동할 때 아주 좋은 이유 (0) | 2020.04.11 |
비타민C 풍부한 귤, 하루 권장량은 (0) | 2020.04.11 |
벌 집에서 배운다. (0) | 2020.04.11 |
필터 담배가 더 위험하다 (0) | 2020.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