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 집에서 배운다. / 벌집은 정육각형이다. 그런데 “왜” 정육각형일까? 이 수수께끼에 대하여 수천 년 동안 풀지 못하다가 1965년에 이르러서야 헝거리의 수학자인 "페예시 토트"가 다음과 같이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라고 한다. 최소의 재료를 가지고 최대의 면적을 지닌 용기를 만들려 할 때에 그 용기는 육각형이 된다. 그러니까, 육각형의 벌집은 새끼를 키우고 꿀이나 화분을 저장하기에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과 비교할 때에 고효율의 최적 구조인 것이리라. 정육각형의 벌집은 벌집 무게의 30배나 되는 양의 꿀을 저장할 수 있다. 게다가 벌집은 꿀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울기가 9-14도로 되어 있다. 더 놀라운 사실도 있다. 벌집을 건축할 때에 수천 마리의 벌들이 흩어져서 각기 맡은 부분을 짓고 마지막에 각 부분을 종합적으로 결합하여 집을 완성시킨다. 이때에 접합 부분들을 보면 놀랍게도 한 치의 빈틈이나 한 호리의 어긋남도 없이 딱 들어맞는다. 마치 한 마리의 벌이 만든 것처럼 . . . 도대체 벌은 어떻게 이 모든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었을까? 신비하다.
'생활정보 2 > 마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운 겨울 날씨, 소변 자주 마려운 이유 (0) | 2020.04.11 |
---|---|
비타민C 풍부한 귤, 하루 권장량은 (0) | 2020.04.11 |
필터 담배가 더 위험하다 (0) | 2020.04.11 |
실생활의 필수품. 휴대폰 관리요령 (0) | 2020.04.11 |
눈운동을 자주해야 눈이맑아진다. (0) | 2020.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