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

토마토, 파프리카 냉장 보관할 때 저온 장해 주의

남동공단 공장 임대 매매 2020. 12. 9. 10:54

 

표면 패이거나 갈변… 비닐 포장 채소 칸에 둬야

 

□ 토마토와 파프리카는 어디서 어떻게 보관하면 좋을까?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주요 과채류(열매채소)는 상온보다는 저온 보관이 유리하지만 저온에서 생기는 피해를 막으려면 반드시 비닐로 포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 저온 저장은 농산물의 호흡을 억제해 신선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는 품질 관리 기술이다. 하지만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과채류의 경우 한계 온도보다 낮은 냉장고(4) 등에 오래 보관하면 씨가 갈색으로 변하거나 과일 표면이 움푹 패는 현상이 발생한다.

  - 모든 과채류는 최적의 저장 온도가 따로 있는데, 토마토, 파프리카, 고추의 저장 온도는 8() 이상, 참외는 5() 이상이 알맞다. 이보다 낮은 곳에서는 저온 장해(수침1) , 핏팅2) )가 발생해 상품성이 떨어진다.

 

농촌진흥청은 주요 과채류의 출하시기를 맞아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온 장해를 막기 위해 토마토, 파프리카, 참외를 숨 쉬는 필름인 엑스에프(XF)필름3)  피이(PE)필름4) 으로 포장한 뒤 보름가량 온도를 달리해 관찰했다.

 

○ 실험 결과, 토마토공기 조성과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XF필름으로 포장해 저온(4) 보관한 시험구(0.86)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채 저온에 둔 시험(2.02)보다 저온 장해 발생이 절반가량 적었다.

 

 

 

 ○ 파프리카상온에서 유통하면 수분 손실로 상품성이 떨어지고 저온에서 일주일 이상 저장하면 저온 장해가 나타났지만, 비닐 필름(XF필름, PE필름)으로 포장한  뒤 저온 보관했을 때는 상품성이 유지됐다. 

 ○ 참외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저온 보관한 것보다 비닐 필름으로 포장한 뒤 저온에 둔 시험구에서 노란색 껍질과 골 부분(하얀 줄 부분)의 갈변 증상이 덜 발생해 상품화 가능 비율이 47% 증가했다.

 

따라서 과채류를 보관할 때는 상온보다는 냉장 보관이 알맞고, 냉장 보관도 그냥 보관하는 것보다 투명 비닐 필름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유통업체에서는 과채류가 숨을 쉴 수 있는 비닐 필름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 일반 가정에서는 투명 비닐 팩이나 비닐 랩으로 싼 뒤 냉장고 채소 칸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2주 이상은 저온 장해 없이 신선함이 유지된다.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홍윤표 저장유통과장은 “장기간 신선도 유지가 어려운 과채류의 저온 장해 억제 기술을 발전시켜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과채류를 제공하고, 나아가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과채류 저온장해 현상과 포장 효과

 

□ 토마토

 

     

왼쪽:

토마토 상온 저장 14

 

오른쪽: 저온(4) 저장 14일 후 상온 유통 2

 

<토마토 필름 포장 시 저온 장해 억제 및 후숙 지연효과>

저온장해 지수: 무포장> PE포장> XF포장

 

* 저온장해지수(핏팅 발생률 기준): 0: 없음 1:거의 없음 2: 과실표면의 5%이내 발생 3: 과실표면의 5-25%이내 발생, 4: 과실표면의 25%이상 발생

* PE 포장: 0.05mm Polyethylene film, XF포장: Xtend MA/MH film 

 

□ 파프리카

 

 

 

파프리카

저온장해 양상

 

<파프리카 상온저장 10일 후 외관(왼쪽),

가정용 냉장고(4) 야채칸 보관 14일 후 외관(오른쪽)  

상품성 우수: 랩밀봉= PE포장> 무포장             

 

 

참외

 

 

   참외 골갈변 양상

 

<참외 필름포장에 의한 골갈변 억제와 상품성 향상 효과

-참외 저온(4)저장 14일 후 상온유통 2일째 외관(왼쪽),

 상품과율(가운데) 및 골갈변 지수(오른쪽)>

 

- 상품과율 : PE포장  85.7%> XF포장 79.2%> 무포장 37.5%

- 골갈변지수 : 무포장 2.3> XF포장 1.4> PE포장 1.2

* 갈변지수: 0: 발생없음, 1: 약간,보통(5% 미만) 3: 심함(25%미만) 4,매우 심함(과실표면 50%정도)

* PE포장: 0.05mm Polyethylene film, XF포장: Xtend MA/MH film

 

 


1)  수침(water soaking): 과실 표면이 움푹해지며 물을 머금고 있는 것 같은 현상.

2)  핏팅(pitting): 과실에 작은 크기로 국부적으로 군데군데 발생하는 부식.

3)  MA/MH: Modified atmosphere/Modified Humidity film.

4)  Polyethylene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