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추(되새김)동물의 메탄생성균, 다 똑같을까?
한우‧젖소‧염소 우점균 같아…메탄 저감 기술 보편 적용 가능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국내에서 사육하는 한우, 젖소, 염소의 반추위에 있는 메탄생성균(메탄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석해 축종에 따른 차이를 비교했다.
○ 동물의 위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동물이 먹는 사료의 소화와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한다.
○ 이와 동시에 장내 발효과정에서 대기를 오염시켜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인 메탄을 배출하기도 한다.
□ 소, 염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안 메탄생성균의 종류와 구성비는 가축을 기르는 방식과 먹이는 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반추위의 메탄 생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해당 미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 그동안 반추동물 메탄생성균에 대한 국내 연구는 한우에 국한됐으며, 축종 간 비교 연구는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 종의 유전체뿐만 아니라 환경에 존재하는 여러 종의 미생물 군까지 분석하는 메타게놈 기법1) 을 이용했다.
□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 사육하는 반추동물의 메탄생성균은 한우에서 6개 속(屬2) ), 젖소에서 4개 속, 염소에서 3개 속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 한우, 젖소, 염소 세 축종 모두 전체 메탄생성균 가운데 메타노브레비박테르 속(Methanobrevibacter)이 94%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균3) 으로 나타났다.
○ 다시 말해 국내 반추동물의 메탄 생성 우점균이 동일하게 존재했다. 이는 우점균에 대한 메탄 저감 기술을 개발할 경우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 김상호 과장은 “이번 축종별 반추위 메탄생성균 연구 결과가 메탄 저감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익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반추가축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인공지능‧소프트웨어(AI‧SW) 인재양성의 산실, ‘경북 ICT이노베이션스퀘어’ 개소 (0) | 2020.12.10 |
---|---|
토마토, 파프리카 냉장 보관할 때 저온 장해 주의 (0) | 2020.12.09 |
내가 하늘을 나는 꿈 (0) | 2020.10.20 |
임대차 3법 시행으로 전세 월세 시장은 안정될것 (0) | 2020.08.05 |
5일부터 부동산 소유권이전 특조법 시행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