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면장애가 치매의 전조현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메이요클리닉 연구진은 이번주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신경학회 60주년 연례회의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브래들리 보브 박사는 70세에서 89세의 옴스테드 카운티 주민 765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통해 걱정, 우울,
무감정과 REM 수면장애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수면 중 꿈을 꾸는 단계인 REM을 비롯해
안구운동력의 상실이 파킨슨병이나 치매와 관계있다고 발표했다.
REM의 주기는 길이가 다르지만 보통 총 수면시간의 20% 정도를 차지한다. REM수면이 부족하거나
장애를 겪으면 밤중에 자주 깨거나 낮 동안 자주 졸게 된다.
REM 수면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은 연구대상 중 8%에 달했다.
보브는 "이 마을 노인들은 확실히 이를 경험하고 있다"며
"이것이 치매의 위험요인이 된다면 8%는 아주 높은 수치다"고 밝혔다.
REM 수면장애와 우울 및 무관심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는 확보됐지만 우울과의 구체적인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보브는 "수면장애의 파장은 밑에서부터 점점 위로 올라간다는 확실한 통계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REM 수면장애는 뇌의 아래쪽 말단에서 시작해 위로 진행되며 더 높은 부위가 지배하는 것은 감정으로
이 현상은 악몽 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음은 운동감각을 지배하는 부분이고
가장 높은 곳은 대뇌피질로 이 부분이 손상되면 인지능력이 침해된다"고 설명했다.


'생활정보 2 > 닳도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군가를 때리는꿈 (0) | 2020.06.11 |
---|---|
시험 보는 꿈 (0) | 2020.06.11 |
변비에 좋은 민간요법 (0) | 2020.06.11 |
손톱으로 알아보는 질환 (0) | 2020.06.11 |
소변으로 내 건강 알아보기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