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때 체력, 중년의 심장마비 좌우 / 10대 시절의 체력이 30~40년 뒤 심장마비 위험도를 좌우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우메아대 약학및재활의학과 피터 노드스트롬 교수팀은 심장마비 연구를 위해 1969~1984년 신체검사를 한 스웨덴 남성 74만 3,498명의 검사자료를 확보했다. 그 후 2011년 1월 1일까지 평균 34년 동안 이들을 추적․조사해 심장마비의 유무를 확인했다. 그 결과 총 7,575명이 심근경색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대 때 심폐기능과 체중에 따라 심근경색을 앓는 비율이 달라졌다. 심폐기능이 15% 좋아질수록 심장마비의 가능성은 18%씩 낮아졌다. 특히 10대 말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을 받은 사람들은 심장마비의 가능성이 35%가량 낮아졌다. 비만의 경우 마름에서 고도비만으로 갈수록 심장마비의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고도비만인 사람은 마른 사람보다 심장마비의 비율이 4배 이상 높았다. 이 연구결과는 2014년 1월 8일자 ‘유럽 심장 학술지(European Heart Journal)’ 온라인판에 실렸다.
'생활정보 2 > 마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화 되돌리는 생체물질이 있다? (0) | 2020.04.11 |
---|---|
여성이 남성보다 턱걸이 못하는 이유 (0) | 2020.04.10 |
우사인 볼트는 물 위를 뛰어다닐 수 있을까 (0) | 2020.04.10 |
정수기를 안심하고 쓰려면? (0) | 2020.04.10 |
모기를 굶겨 죽이는 약? (0) | 2020.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