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 여러분 중에 '가죽피리'라는 은어를 아시나요? 생리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증상의 하나이지요. 그런데 이 '방구'는 고유어 같은가요? 아닙니다. 한자어입니다. 즉 '방기'입니다. '방'은 '놓을 방' 그리고 '기'는 우리 나라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인데, '갓 변'에 '기운기'를 쓴 자입니다. 그런데 '방기'가 어떻게 해서 '방구'가 되었느냐구요? 이 '방구'는 옛말에서는 '방긔'라고 했었기 때문에 오늘날 '방구'가 가능하지요. 오늘날에는 이것이 한자어인 줄 모르게 된 것입니다. 근거가 있느냐구요? 그럼요. 17세기 이후의 모든 문헌에 '방긔'로 나오고 이것의 한자가 표시되어 있지요. '역어유해' 등에서 찾아보세요. 틀림없을 테니까요.
'생활정보 2 > 마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0) | 2020.04.10 |
---|---|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베름빡' (0) | 2020.04.10 |
수돗물의 소독약 냄새는 (0) | 2020.04.10 |
사랑니에 대하여 (0) | 2020.04.10 |
맥주를 따를때 거품은 어느 정도가 되야하는가? (0) | 2020.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