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주유소에서는 특히 조심해야할 정전기 / 연료를 넣기 위해 자동차 주유구를 열다가 갑자기 ‘펑’하는 소리와 함께 불이 일어나는 사고 장면이 TV 뉴스에서 최근 방영돼 시청자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런 사고의 원인은 겨울이면 우리가 흔히 느끼는 정전기로 밝혀졌다. 건조한 겨울철, 옷이나 목도리 등의 마찰로 몸에 쌓여 있던 정전기 전하가 주유구를 열 때 새어나온 기름 증기에 방전되면서 폭발한 것이다. 정전기는 겨울에는 더 기승을 부린다. 자동차에 키를 꽂을 때마다 불꽃이 튀고, 스웨터를 벗으면 ‘찌지직’ 소리와 함께 머리카락은 폭탄 맞은 것처럼 변하기도 한다. 이런 짜증나는 정전기는 왜 생기는 걸까.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전기라고 해서 정(靜)전기라고 부른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전기가 흐르는 물이라면, 정전기는 높은 곳에 고여 있는 물이다. 정전기의 전압은 수만 볼트에 달해 번개와 동급이지만, 전류는 거의 없어 치명적이지 않다. 정전기가 생기는 이유는 마찰 때문이다. 물체를 이루는 원자의 주변에는 전자가 돌고 있는데, 원자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자들은 마찰을 통해 다른 물체로 쉽게 이동하기도 한다. 생활하면서 주변의 물체와 접촉하면 마찰이 일어나기 마련인데, 그때마다 우리 몸과 물체가 전자를 주고받으며 몸과 물체가 조금씩 전기가 저장된다. 한도 이상 전기가 쌓였을 때 적절한 유도체에 닿으면 그동안 쌓였던 전기가 순식간에 불꽃을 튀기며 이동한다. 이것이 정전기다.
'생활정보 2 > 마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치 않는 자극에 대한 거부감 (0) | 2020.04.10 |
---|---|
아이들도 미인을 좋아한다. (0) | 2020.04.10 |
안경 오래 쓰면 눈 튀어 나온다? (0) | 2020.04.10 |
해발고도 어떻게 재나 (0) | 2020.04.10 |
욕조 물 빠질땐 왜 소용돌이 치나 (0) | 2020.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