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사욕과 공익은 화합할 수 없다? 사리사욕과 공익은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더 나아가 사리사욕은 복지와 경제성장을 보장해준다는 것이 경제학자들의 견해다. 다만 중요한 것은 사리사욕, 즉 우리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적당히 제어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시장경제에서 그와 같은 제어는 무엇보다 경제활동의 참여자 모두가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을 주고 동시에 자기 자신의 이윤을 확대시킴으로써 이뤄진다. 가령 택시운전사가 새벽까지 역 앞에 대기하고 있는 것은 막차를 타고온 여행객을 무사히 집으로 데려다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야간수당을 받기 위해서다. 모든 사람들이 테레사 수녀와 같이 무조건적으로 베풀 때만 기능을 발휘하는 사회는 이 지구상에 존재할 수 없다.
'생활정보 2 > 마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스키타이․페르시아인 풍습 (0) | 2020.04.10 |
---|---|
라이트는 저칼로리 식품이다? (0) | 2020.04.10 |
흑인노예 주인은 대부분 유럽인? (0) | 2020.04.10 |
미 메디케어 시스템은 공정하다? (0) | 2020.04.10 |
지구의 질량과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 (0) | 2020.04.10 |